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릭슨과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by selione 2021. 2. 11.

 

 

(1) 에릭슨 그는 어떤 사람인가?

1902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출생하였다. 부모는 덴마크에서 살았으나 이혼으로 독일로 이주하여 프랑크푸르트에서 출생하였다. 에릭슨 3세 때 어머니는 소아과 의사와 재혼하였다. 어머니는 철학과 문학에 깊은 관심이 있었다. 에릭슨은  18세에 김나지움을 졸업했다. 그는 라틴어 그리스어에 능했지만 대학에 진학을 포기하고 유럽을 여행하면서 방황을 하였다. 그는 이론 속에 사회적 유예기를 설명하고 있는대 그의 삶의 경험에서 나온 것임을 알 수 있다. 한때는 미술가를 꿈꾸기도 했으나 금방 그만두었다. 방황 기 피렌체에서 페이스 블루스의 추천으로 칼스루에에서 학교 운영을 도왔다. 이를 계기로 정신분석학을 접하게 되었으며 인생의 전환기를 맞는다. 프로이트의 딸인 안나 S. 프로이트 등으로부터 정신분석학을 배우고 학교와 아버지의 병원의 아이들을 관찰하였다. 그 바탕으로 아동 정신분석학자로 발전하게 된다.  31세에 최초의 아동정신분석학자가 되었다. 1936년 예일대학교에서 강의하였고 1939년 버클리에서 아동발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유아기와 사회를 저술한다. 흥미로운 점은 에릭슨 이름의 아들, 자기 자신의 아들이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대 에릭슨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얼마나 많이 고민했을지 엿보이는 대목이다.

 

(1)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이란?

정신분석 학파에 속했던 에릭슨이 후성설 원리로써 인성발달을 설명한 이론이다. 에릭슨은 신체의 여러 부분이 태아 속에서 상호 관련되어서 발달하는 것과 같이 인성도 상호 관련된 관계를 통하여 발달된다고 보았다. 자아 단계는 어떤 형태 속에서 존재하나, 각 단계는 발달의 결정적 시기를 가진다고 했으며 인성발달은 일련의 전환점의 연속이라고 했다. 에릭슨은 인간의 심리사회적 발달의 8단계를 개괄했는데 각 단계는 그 시기의 성공적인 해결에 의해 좌우된다고 보았다. 또한 특정한 단계에서 긍정적인 면이 부정적인 면 보다 우세하면서도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면이 함께 공유할 때 세상에 가장 잘 적응하는 것이라고 했다.

 

 

 

댓글